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부가데이터
- 230508
- 데이터 타입
- string
- null-safety
- 프래그먼트
- putextra
- C++
- Flutter
- 생명주기
- ActionBar
- 230510
- DFS
- 인텐트
- intent
- DOMContentLoaded
- 함수 인자
- serializable
- parcelable
- 230503
- fragment
- Adapter
- textContent
- html
- classList
- 안드로이드
- querySelector
- ViewPager
- javascript
- Class
- Today
- Total
목록widget (2)
나만의 개발노트
모든 widgetd은 lifecycle(생명주기)가 존재한다.statefulWidget에는 생명주기와 관련된 3가지 메소드가 존재한다.initState() : 속성 초기화하는 메소드build() :위젯의 UI를 만드는 메소드dispose() : 위젯이 스크린에서 제거될 때 호출되는 메소드 [ initState() ]: 속성을 초기화하는 메소드 보통 클래스 상단에서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다 (아래 코드)class MyLargeTitle extends StatefulWidget{ int counter = 0; ...} -> 부모 요소에 의존하는 데이터를 초기화 해야할 때 사용ex) API 업데이트 구독 등단 한번만 호출된다build보다 먼저 호출된다[ dispose() ]: 위젯이 스크린에서..

화면에 나타나는 모든 요소는 widget이다. -> 블록처럼 widget을 쌓아 앱을 만드는 것Flutter는 수백개의 widget을 제공한다 -> 외우지 말고, 찾아보며 사용https://docs.flutter.dev/ui/widgetsclass 는 3가지 core Widget 중 하나를 상속받으면, widget이 될 수 있다.가장 기초적인 cord widget : StatelessWidget - 화면에 그려주기만 함widget이 되려면, build method도 꼭 구현해야 한다.build method는 widget의 UI를 만드는 메소드 이다 즉, build()가 return 한 것을 화면에 띄우게 된다.main함수에서 runApp()안에 들어가는 widget은 root위젯이다materialApp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