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Tags
- 230503
- intent
- querySelector
- serializable
- textContent
- html
- 데이터 타입
- null-safety
- 생명주기
- putextra
- C++
- Adapter
- ActionBar
- Flutter
- ViewPager
- 안드로이드
- Class
- 230508
- parcelable
- 함수 인자
- 인텐트
- 부가데이터
- javascript
- classList
- string
- 프래그먼트
- 230510
- fragment
- DFS
- DOMContentLoaded
Archives
- Today
- Total
목록삼항 조건 연산자 (1)
나만의 개발노트
[JS 공부] Deep Dive책 - 7장_연산자_230322(수)
- NaN : 산술 연산이 불가능한 경우 반환값 - 부수효과 : 피연산자의 값이 바뀜 [비교 연산자] - 동등/일치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 의미 사례 설명 부수 효과 == 동등 비교 x == y x와 y의 값이 같음 X === 일치 비교 x === y x와 y의 값과 타입이 같음 X != 부동등 비교 x != y x와 y의 값이 다름 X !== 불일치 비교 x !== y x와 y의 값과 타입이 다름 X ▶동등 비교(==)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를 비교할 때 먼저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타입을 일치시킨 후 같은 값인지 비교한다 -> 실수하기 쉬우므로 일치 비교(===)연산자를 사용 // 동등 비교. 5 == 5; //-> true // 타입은 다르지만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타입을 일치시키면..
[JavaScript]/[JavaScript] 공부 기록
2023. 3. 22. 16:59